주변을 조금만 둘러봐도 허리 통증으로 고생을 하시는 분들이 정말 많습니다.
실제로 한 사람에게 허리통증이 발생할 확률은 80%라고 하니 살면서 무조건 생기는 통증이라고 봐도 될 정도입니다.
허리통증의 원인
허리 통증을 일으킬 수 있는 원인들은 굉장히 다양한데요, 가장 중요한 것은 자세와 약한 근육입니다.
만성적인 허리통증을 호소하시는 분들을 보면 근육이 탄탄하신 분들이 거의 없습니다. 그리고 오랫동안 특정 자세를 취하여 허리 건강이 굉장히 안좋은 분들이 많습니다. 허리통증의 근본적인 문제는 대부분 자세와 근육에 있기 때문입니다.
다리를 꼬는 자세, 거북목 자세, 소파에 엉덩이를 쭉 빼고 앉는 자세등 잘못된 습관, 운동부족으로 인한 허리 주변 근육 약화로 척추를 잡아주는 힘의 부재 등이 허리 통증의 가장 큰 원인들이 되겠습니다.
그리고 허리 통증을 유발하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허리 통증을 유발하는 질환
근골격계의 문제
허리통증을 일으킬 수 있는 가장 흔한 원인은 근골격계의 문제입니다. 근골격계라는 것은 우리 신체를 구성하고 있는 뼈, 인대, 근육, 건 등을 말하는 것입니다. 이런 신체성분들에 문제가 생기게 되면 통증 신호가 뇌로 전달이 되어 사람이 아프다고 느끼게 됩니다.
그 중에서도 가장 많은 것이 '염좌'입니다. 쉽게 말해 염증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이 염증은 근육, 인대 등 다양한 구조물들에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 보통 염좌는 과도한 긴장에 의해 발생합니다. 무거운 물건을 들거나 갑자기 허리를 틀 때, 격한 운동을 하거나 충격을 크게 받았을 때 발생하게 됩니다. 보통 이런 경우 며칠 약물 치료나 물리치료를 받으면 나을 수 있으니 큰 문제가 되는 부분은 아니기도 하죠.
척추관 협착
우리 몸의 중심 뼈대가 되는 척추에는 신경다발인 척수가 지나갑니다. 이 척수가 지나가는 통로들을 척수관이라고 합니다.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퇴행성 변화로 척추뼈등에 변형이 생기게 되면 척수관이 좁아져 신경을 누를 수 있습니다. 그럼 염증과 통증이 유발될 수 있죠. 이것을 척추관 협착증이라고 합니다. 신경증상을 동반하기도 합니다. 퇴행성 변화로 주로 오기 때문에 다양한 척추 질환들이 섞여있는 환자분들이 많습니다. 그래서 진단이 정말 중요한 질환이며 보존적치료로도 호전이 되지 않는다면 수술까지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디스크 탈출증
환자분들은 허리가 지속적으로 아프면 '디스크인가?'라는 생각을 가장 먼저하십니다. 그 만큼 디스크 탈출증 환자가 흔하다는 뜻이기도 합니다. 척추 뼈의 마디마디 사이에는 디스크라는 것이 존재하는데 이것은 뼈 같이 딱딱하지 않고 쿠션역할을 할 수 있게 부드러운 재질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외부 충격이나 잘못된 자세등의 원인에 의해 이 디스크가 다른 방향으로 밀려나오게 되면 신경을 누를 수 있습니다. 보통은 척수쪽으로 밀려나오게 되며 신경증상과 통증등을 동반합니다. MRI촬영시 척추 마디사이의 디스크가 튀어나와 신경이 눌러있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으며 다양한 신체검사들과 엑스레이 등을 활용하여 진단을 내릴 수 있습니다. 비수술적 치료로도 호전되는 분들이 많은 편이며 심한 경우 튀어나온 디스크를 잘라내는 수술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골관절염
강직성척추염, 척추관절염, 류마티스 관절염등이 있는데 쉽게 말해 관절부위에 염증이 생기는 것입니다. 자가면역질환에 의해 발생할 수도 있으며 퇴행성으로 오기도 합니다.
골다공증
골다공증이 있다고 해서 허리가 아픈 것은 아닙니다. 하지만 골밀도가 낮다보니 작은 충격에도 골절이나 미세골절이 발생하기 쉽기 때문에 이런 경우 허리 통증이 발생하게 됩니다. 뼈가 구멍이 숭숭나서 지지대의 역할을 제대로 못해주는 것입니다. 이런 경우 여러 약물치료들과 운동을 통해 골밀도를 증가시켜 주어야만 합니다. 진단을 위해서는 T점수를 매기게 되는데 이 점수가 -2.5보다 낮게 나오면 골다공증으로 확진하여 약물치료를 시작합니다. 보통은 여성들에서 더 자주 발병하는 특징이 있습니다.
척추의 비틀어짐
잘못된 자세나 다리꼬는 습관 등에 의해서 척추가 올바르게 정렬되어 있지 않고 앞, 뒤, 옆 방향으로 휘어 있는 상태를 말합니다. 뼈가 휘게 되면 그 주변에 붙어있는 인대나 근육이 과도하게 수축, 이완이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약간의 자극에도 통증이 생길 수 있게 됩니다.
'의학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족저근막염 증상과 치료, 보조기에 관하여 (0) | 2023.07.29 |
---|---|
어깨 통증의 원인 질환 총정리 (0) | 2023.07.28 |
목디스크 베개는 어떤 것을 써야 좋을까 안좋은 베개는? (0) | 2023.07.27 |
정형외과 통증의학과의 차이 무엇일까요? (0) | 2023.07.27 |
장경인대증후군의 원인과 치료 및 무릎보호대 (0) | 2023.07.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