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의학건강

뇌동맥류 증상 및 전조증상, 원인과 치료 방법

by 닥터팍 2023. 11. 14.
반응형

뇌동맥류와 뇌

뇌동맥류는 사람의 일상생활을 순식간에 빼앗아 갈 수 있는 위험한 질환입니다. 빨리 조치가 취해진다면 큰 문제없이 생활로 복귀가 가능하지만 심한 경우 영구적인 장애나 뇌사, 사망에 이를 수 있기 때문에 각별한 주의와 이해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특히 환절기나 겨울철이 되면 뇌동맥류 환자들이 증가하게 되는데요, 뇌동맥류 증상은 무엇인지 원인과 치료방법은 어떤 것들이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우리의 뇌는 약 1.4kg정도의 무게로 전체 체중의 약 2~3%밖에 차지하지 않지만 혈액량의 20%를 필요로하는 기관입니다. 뇌는 크기는 작지만 굉장히 다양한 기능들을 담당하는 사령탑의 역할을 하기 때문에 영양분과 산소가 많이 필요합니다. 그래서 많은 혈액들이 들어갔다가 나오게 되는데 만약 혈관에 이상이 생기게 된다면 잠정적인 시한폭탄을 머리에 가지고 살아가는 것이나 마찬가지가 됩니다. 특히 뇌는 두개골에 둘러쌓여있기 때문에 내부에서 출혈이 발생할 경우 부풀어 오를 공간이 없습니다. 그래서 내부로 압력이 전해져서 뇌가 괴사되어 기능을 잃어버리게 되는 것입니다. 또한 다른 장기들과는 달리 주변 조직에 대한 보호가 부족하기 떄문에 이로 인해 혈압이 상승하거나 변동할 때 뇌혈관이 약해지고 파열되기가 쉽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뇌동맥류

뇌 혈관의 동맥벽 일부분이 약해져서 주머니처럼 부풀어 오르는 것을 뇌동맥류라고 부릅니다. 뇌동맥류는 터지기 전에는 증상이 전혀 없기 때문에 건강검진이나 다른 검사를 위해 뇌 검사를 했다가 발견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동맥류가 파열되게 되면 뇌출혈이 발생하여 굉장히 응급한 상황이 펼쳐지게 됩니다. 실제로 뇌동맥류는 미국인 50명 중 1명이 앓고 있을 정도로 흔한 질병이며 한국이나 일본과 같은 아시아 국가에서는 동맥류의 유병률이 더 높아 인구의 약 2~3%가 진단을 받았거나 모른채 살아가고 있다고 합니다.

 

원인

뇌동맥류의 원인은 아직 정확하게 밝혀지지는 않았지만 위험 요인으로 손꼽히는 것들이 있습니다. 흡연, 고혈압, 동맥류 가족력, 특정 유전 질환이 가장 큰 위험요인 입니다. 이러한 위험 요인이 있는 개인은 경계심을 갖고 조기 발견 및 치료를 위해 의료 조치를 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증상 및 전조증상

뇌동맥류는 별다른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그래서 뇌동맥류는 따로 전조증상이 없으며 정기 건강검진을 통해 유연히 발견되는데요, 동맥류가 만약 파열된다면 즉각적으로 증상이 나타나게 됩니다.

 

뇌동맥류가 파열될 경우 가장 흔하게 나타나는 증상은 극심한 두통입니다. 벼락맞은 듯한 두통, 번개가 치는 듯한 두통등으로 표현을 하는데 환자분들은 자신이 경험해본 두통중 최악의 두통이라고 묘사하기도 합니다. 망치를 맞은 것 같다고도 하죠. 또 다른 증상으로는 의식 혼미, 메스꺼움, 어지럼증, 시야 이상, 얼굴 근육의 이상, 팔다리 감각이나 운동기능 이상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두통과 함께 이런 증상이 생기신 분들은 최대한 빠른 시간안에 응급실로 방문하시어 신경과나 신경외과 전문의의 처치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진단

뇌동맥류를 진단하기 위해서는 뇌 CT나 MRI가 사용됩니다. 아마 뇌동맥류 파열 증상으로 응급실에 가신다면 뇌 출혈과 뇌경색, 뇌실과 뇌실질의 상태등을 파악하기 위해 CT와 MRI를 두 가지 모두 검사할 확률이 큽니다. 

 

치료방법

뇌동맥류가 파열될 경우 뇌출혈이 발생한 것이기 때문에 뇌출혈에 대한 치료를 하게 됩니다.

뇌동맥류가 파열되기 전에 발견되었다면 수술이나 약물 치료가 진행될 수 있습니다. 뇌동맥류 치료에 있어서 수술적인 치료 방법이 가장 많이 시행되고 있으며 수술 방법에는 크게 클리핑과 코일링 두 가지가 있습니다.

 

클리핑이라는 것은 두개골을 열고 뇌 혈관 내 동맥류를 찾게 됩니다. 동맥류의 주머니 입구부분에 작은 클립을 찝어 추가적인 혈류가 유입되는 것을 막고 파열 위험을 줄입니다.

 

반면에 코일링은 두개골을 열 필요가 없는 덜 침습적인 수술 방법입니다. 다리 동맥에 카테터를 삽입하여 얇은 철사 모양의 코일을 동맥류에 말아 넣어 삽입하는 식으로 시술이 진행됩니다. 코일은 동맥류를 채워 혈전 형성을 촉진하여 파열을 방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뇌동맥류 수술은 동맥류의 크기나 모양 및 위치에 따라서 클리핑, 코일링 두 가지 방법중 적합한 방법을 선택하여 시행하게 되니 신경외과 전문의와의 충분한 상담이 필요하겠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