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의학건강

어깨 통증의 원인 빈도순서로 정리

by 닥터팍 2023. 8. 3.
반응형

어깨는 우리 몸에서 가장 유연성이 있는 관절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팔이 360도 회전이 가능하도록 해주는 관절이다 보니 문제가 생기면 일상생활에 큰 지장을 받게 됩니다. 큰 유연성 만큼이나 부상을 입기 쉽고 여러 문제에 의해 통증이 유발되기 쉬운 관절이기도 합니다.

어깨 통증의 원인은 매우 다양한데 그 빈도 순서대로 어깨 질환에 대해서 정리를 해보겠습니다.

 

어깨 통증의 원인

 

1. 단순 염좌

갑작스럽게 어깨를 사용하는 경우, 과격한 운동을 한 경우 어깨의 힘줄이나 근육에 염좌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염좌라는 것은 쉽게 말해 염증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염증이 생기면 붓기나 눌렀을 때 아픈 압통, 관절 사용시에 통증등이 발생하게 됩니다. 가장 빈도가 높은 어깨 통증의 원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2. 회전근개 손상

급성 외상이나 반복적인 어깨 관절의 사용,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퇴행성 등의 원인으로 회전근개에 손상이 올 수 있습니다. 회전근개에 부분파열이나 완전파열이 있게 되면 팔의 위뼈가 주로 아픈 것이 특징적입니다. 만약 목 주변의 근육인 승모근만 아픈 증상이라면 회전근개 손상이 아닐 가능성이 있습니다. 팔을 들어올리는 것이 혼자 힘으로는 힘들어지게 되며 특정각도에서 팔을 내릴때 팔이 툭 떨어지는 증상이 생기기도 합니다. 신체 검사와 초음파 검사, MRI검사등으로 확진이 가능합니다. 경우에 따라 수술을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3. 관절염

어깨 골관절염은 일반적으로 퇴행성 질환으로 발생합니다. 우리 몸의 관절에는 충격을 완충해주는 연골이 있습니다. 이 연골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닳아 없어지며 뼈끼리 충돌이 생기게 되어 통증이 발생하게 됩니다. 통증은 어깨 관절을 사용할 경우 악화되고 휴식시에는 통증이 줄어드는 특징이 있습니다.

 

 

4. 활액낭염

어깨에는 연골 뿐만아니라 윤활제와 같은 역할을 해주는 활액낭이 존재합니다. 이 활액낭에 어떠한 이유로 염증이 생기게 되면 어깨 관절이 움직여질때마다 통증이 생깁니다. 통증이 너무 심하거나 만성 활액낭염의 경우 염증을 줄이기 위한 스테로이드 주사나 소염제주사가 도움이 되기도 합니다.

 

5. 오십견(유착성 활막염)

오십견은 말 그대로 50세경에 오는 어깨질환이라는 뜻입니다. 하지만 다양한 연령대에 발생하기 때문에 이름이 맞지 않다는 의견도 많습니다. 영어로는 동결 어깨 라는 이름을 가지는데 어깨가 굳는 것이 특징적이기 때문입니다. 통증은 밤에 더 심해지기도 하며 어깨가 굳어서 다른 도움 없이는 머리위로 팔을 들 수 없어지기도 합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자연적으로 회복되는 경우도 있지만 물리치료나 도수치료등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6. 골절

넘어지거나 교통사고 등의 원인에 의해 어깨 주변 뼈가 부서지는 증상입니다. 통증이 굉장히 심하게 나타나며 부러지는 즉시 통증이 시작됩니다. 진단은 엑스레이상에서 부러진 면이 확인되는 것이 대부분이며 보조기등으로 어깨를 고정시켜 절대안정을 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골절의 양상이나 정도에 따라 수술이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7. 탈골

과격한 운동도중 어깨가 비정상적으로 돌아가는 경우에 발생하곤 합니다. 윗팔뼈가 어깨의 소켓안에 정상적으로 있어야하는데 이 소켓을 빠져나오면 탈골이라고 합니다. 탈골 역시 골절과 마찬가지로 통증이 즉각적이고 극심합니다. 간단한 신체검사나 엑스레이로 충분히 진단이 가능하며 주변 근육의 동반 파열의 유무에 따라 치료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8. 연관통

연관통이라는 것에 대해서는 잘 모르실 것 같은데요, 다른 장기의 문제로 인해 어깨에 통증이 발생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심장이나 담낭등에 문제가 생기면 그 통증이 어깨까지 방사되어 나타나는 것입니다. 보통 해당 장기에 의한 다른 증상들을 동반하게 되고 어깨만 단독으로 아픈 경우는 많지 않습니다. 치료는 해당 장기에 대한 치료가 우선이 됩니다.

 

 

 

이상으로 어깨 통증의 원인에 대해 빈도순서에 따라 8가지 정도를 정리해 보았습니다.

어떤 질환이 있는지에 대한 내용을 참고정도만 해주시고 자세한 평가는 정형외과 전문의에게 상담을 받으시는 것이 좋습니다.

반응형